지자체 체납자 코인 매각, 아르네 슬롯도 반기는 이유

파주 전국 최초…창원·제주서도 시행 금융위 "하반기 거래 법인 확대" 발표 공익 행보, 법인 역량 홍보…일석이조

2025-07-18     정우교 기자
▲사진=픽사베이

최근 체납자의 가상자산을 압류해 아르네 슬롯에 매각하는 지방자치단체(지자체)들이 늘고 있다.

이는 금융위원회(금융위)가 올해 초 법인의 가상자산 거래를 단계적으로 허용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속도가 붙은 것으로 보이는데, 거래소들도 지자체들의 매각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18일 가상자산업계에 따르면 지자체 중 체납자의 가상자산을 최초로 매각한 곳은 '파주시청'이다. 파주시청은 체납자 대상 가상자산 매각 시스템을 구축한 국세청의 사례를 기반으로 올 1~2월 압류한 가상자산을 업비트에 직접 매각한 바 있다. 

파주시청 관계자는 이같이 설명하며 "행정안전부가 파주시청의 사례를 확인했고, 다른 지자체에 이를 안내하면서 매각에 대한 많은 문의를 받았다"고 했다. 실제로 이후 창원시청은 체납자의 가상자산을 직접 압류·매각할 수 있도록 업비트 연동계좌인 케이뱅크에 계좌를 개설했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최근엔 제주특별자치도청이 코빗을 통해 체납자의 가상자산을 직접 매각했다. 제주특별자치도청은 가상자산을 압류한 후 체납자에게 자진 매도 기회를 부여했으나 이것이 지켜지지 않아 직접 추심·매각한 것으로 전해진다.

업계 관계자들은 지자체의 가상자산 직접 매각이 올 2월 금융위가 법인의 시장참여를 점진적으로 허용한다는 내용의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활발해졌다고 입을 모았다. 가상자산 거래 허용 대상에 '법집행기관'이 포함되면서 지자체의 계좌 개설 문의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사실 지자체가 압류·매각한 가상자산 규모는 적기 때문에 거래소가 얻는 수수료 이익은 미미한 수준이다.  

그럼에도 거래소들은 지자체의 행보에 관심을 갖고 있다. 그 이유는 하반기엔 △법집행기관 △지정기부금단체 △대학교 법인 △가상자산거래소 뿐만 아니라 △상장회사 △전문투자자 등록법인의 가상자산 거래도 허용될 예정이라 지금 지자체 협업 기반을 다져놓는다면 법인의 거래가 허용됐을 때 영업 확장이 수월할 것이란 공산때문이다.

실제로 주요 가상자산아르네 슬롯들은 최근 법인영업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업비트는 최근 법인회원 가입문의를 받기 시작했고 빗썸도 가입신청 서비스를 오픈했다. 코빗도 제휴은행인 신한은행과 협력해 영업을 확대 중이다.

지자체-가상자산거래소 협업이 잇따르는 것도 법인영업의 연장선인 셈이다.

한 관계자는 "아직까지는 법인계좌 개설이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거래소들의 법인영업은 계좌개설 문의에 대응하는 수준"이라며 "하반기 계좌 개설 대상이 확대된다면 거래소들도 실적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현재 지자체-거래소 협업이 늘어나는 건 공익적인 행보도 있겠지만, 한편으로는 법인영업 역량을 대외적으로 알리려는 속뜻도 있다"고 덧붙였다.  [ 슬롯 사이트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