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석훈 전 회장 5일 퇴임…3년 임기 끝
회장 부재…"본점 이전, 뜨거운 감자로"
법 개정안 1년째 계류중…사실상 무산
勞 "새 회장 반대 명확히…강력 대응도"

산업은행의 '부산행'이 이재명 정부의 출범 이후 동력을 상실했다.
이재명 정부가 △동남투자은행 설립 △해양수산부 이전 △HMM 본사 이전을 추진하면서 부산 이전에 찬성했던 여론도 잦아드는 모양새다. 부산광역시가 여전히 이전에 대한 의지를 다지고 있지만 법 개정도 지지부진해 사실상 무산됐다는 평가가 힘을 받고 있다.
이 가운데 산은 노동조합은 성명서를 통해 새 회장이 본점 부산 이전에 대해 명확한 반대 입장을 표명해줄 것을 요구했다. 새 수장에게 확답을 듣겠다는 의지로, 지난 정부에 이어 산은 회장의 메시지에 업계 안팎의 시선이 쏠릴 전망이다.
강석훈 전 회장이 임기를 끝내고 퇴임한 건 이재명 대통령 취임 이튿 날인 지난 5일. 산업은행 회장 자리는 아직 공석이다. 새 정부가 이제 막 들어섰고, 임명을 제청할 금융위원장도 윤곽이 드러나지 않은 상태라 산업은행 회장 인선은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은행 관계자도 "정부 발표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라고 답했다.
앞선 강 전 회장의 취임도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이후 두 달여 만에 이뤄진 것을 감안하면 대통령의 파면으로 일찍 들어선 이번 정부에선 빨라도 이달은 지나야 인선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회장의 부재에도 부산 이전 문제는 여전히 '뜨거운 감자'로 남아있다. 무엇보다 본점 이전을 추진했던 국민의힘이나 부산에선 현 정부의 기류가 달갑지 않은 표정이다.
특히 박형준 부산시장은 최근 간담회에서 산업은행 이전 의지를 재확인했다. 박형준 시장은 산업은행 이전을 '고래'로 현 정부가 이전의 대안으로 내놓은 동남투자은행을 '참치'로 각각 비유하며 "고래하고 참치를 바꿀 수 있다는 생각은 굉장히 위험하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산은 이전이 윤석열 정부에서만 거론된게 아니라 노무현 정부부터 출발했던 사안이며 문재인 정부의 2차 공공기관 이전안에도 부산 이전이 포함됐다고 강조했다. 또 동남투자은행에 대해서는 "산업은행 정도의 정책금융기관 역할을 할 수 있을 때, 설립을 검토해야 한다"고 부정적인 견해를 내비쳤다.
이러한 발언은 정부와 부산시간 묘한 긴장감을 불러오기도 했다.
부산 이전이 실현되려면 한국산업은행법 제4조 1항('한국산업은행은 본점을 서울특별시에 둔다')부터 바뀌어야 힘이 실린다. 그러나 정작 본점을 부산에 둬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법안은 1년 째 계류 중이다.
최근 3년 새 국정감사에 출석한 금융당국 수장들도 '법부터 바뀌어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냈지만 답을 들었던 정치권, 특히 당시 여권의 입법 움직임은 성과를 내지 못했다. 또 이젠 정권까지 바뀌었으니 부산 이전은 박 시장의 의지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사안이 돼버렸다.


그간 본점 부산 이전을 두고 정부, 강 전 회장 측과 부딪쳤던 산업은행 노동조합은 '윤석열·강석훈 지우기'에 나서기 시작했다.
새 회장의 윤곽이 드러나지 않은 현 시점에서 성명서를 발표하고 신임 회장에게 △부산 이전에 대한 반대 입장 표명 △이전대상공공기관 지정 해지 △은행 내 이전준비단 해체 △부산 이전 부서 복귀 등을 요구한 것이다.
노조는 이 성명서에서 "신임 회장은 단기 성과나 정치적 이해 관계에 휘둘리는 인물이 아니라 정책금융의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고 산업은행과 함께 나아갈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조 관계자는 추가 통화에서 "강 전 회장의 퇴임 이후 이전까지 진행해왔던 집회는 정리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노조는 최근 강 전 회장 취임 직후부터 본점 1층에서 진행해왔던 1인 집회를 강 전 회장의 퇴임과 새 정부의 출범과 맞물려 지난 5일로 종료했다.
또 "신임 회장에 요구안을 제시한 만큼 이를 수용하지 않는다면, 출근길 집회를비롯해 기존 부산 이전 때보다 더욱 강하게 부딪칠 생각도 있다"고 귀띔했다. [ 슬롯 사이트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