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생활건강이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1조6049억 원, 영업이익 548억 원을 기록했다고 31일 공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8%, 65.4% 감소했다.
전반적인 경기 둔화와 중국 시장 부진, 원가 부담 확대 등이 실적에 영향을 미친 가운데, 닥터그루트와 유시몰 등 프리미엄 브랜드는 북미·일본 등 해외 시장에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2분기 사업 부문별로는 뷰티(Beauty) 부문이 고전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4% 줄어든 6046억 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163억 원으로 적자 전환됐다. 국내 H&B숍과 북미·일본 주요 온라인 채널의 매출은 성장했지만, 면세점과 방문판매 등 전통 유통 채널 재정비와 원가 부담 확대로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생활용품(HDB) 부문은 매출 5420억 원으로 2.0%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7.1% 줄어든 286억 원에 그쳤다. 닥터그루트는 북미 아마존과 틱톡 채널을 중심으로 올 상반기 매출이 전년 대비 800% 급증했으며, 유시몰도 일본·북미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했다. 그러나 고정비 부담과 마케팅 투자 증가로 수익성은 낮아졌다.
음료(Refreshment) 부문은 내수 소비 위축과 장마 영향으로 매출 4583억 원, 영업이익 425억 원을 기록하며 각각 4.2%, 18.1% 감소했다.
올 상반기 누적 기준 매출은 3조3027억 원, 영업이익은 1972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5.3%, 36.3% 줄었다. 사업 부문별로는 뷰티 매출 1조3127억 원(–11.5%), 영업이익 426억 원(–70.0%)으로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HDB는 매출 1조1153억 원(+2.1%), 영업이익 652억 원(+3.5%)으로 선방했으며, 음료 부문은 매출 8747억 원(–4.2%), 영업이익 893억 원(–14.4%)을 기록했다.
LG생활건강은 이날 이사회를 통해 보통주와 우선주 각각 주당 1000원의 중간배당을 결정했으며, 8월 18일 기준 주주를 대상으로 8월 29일까지 배당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동시에 보통주 31만5,738주의 자사주 소각도 오는 8월 14일 진행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발표한 밸류업 방안의 일환이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기존 사업의 성장과 함께 인수합병(M&A)을 통한 신성장 동력 확보에도 주력하고 있다”며 “기업 가치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 슬롯 사이트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