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카드사들이 '비용 딜레마'에 빠졌다.
불황을 극복하기 위해 영업을 확장하고 있지만 막대한 영업비용이 오히려 실적을 깎아먹는 꼴이 되고 있어서다. 또한 이자익을 기대할 수 있는 카드론도 손실 리스크에 대비한 충당금(비용)도 쌓아놔야 한다. 카드사들은 이익을 제대로 보지 못하고 있지만 어쩔 수 없이 비용을 써야하는 처지인 것이다.
이러한 악순환은 올 상반기 주요 카드사들의 실적에서도 확연하게 드러났다.
28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카드사 6곳(국민·신한·우리·하나·삼성·현대)의 상반기 순이익은 총 1조1152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1조3622억원)에 비해 18.1% 줄었다. 6곳 중에선 5곳의 순익이 뒷걸음질쳤다.
신한카드가 작년 상반기보다 35% 감소한 2466억원에 그치며 실적을 발표한 카드사 중 가장 많이 줄었다.
또 국민카드는 29.1% 감소한 2557억원, 우리카드는 9.5% 줄어든 760억원으로 나왔으며 삼성·하나카드 순익은 1년 전보다 각각 7.5%, 5.5% 깎인 3356억원, 1102억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현대카드는 1655억원 순이익을 내며 6개사 중 유일하게 실적이 1.0% 늘었다.
실적이 크게 줄었지만 면면을 살펴보면 각 카드사들은 적잖은 영업성과를 냈다. 카드 이용금액이 늘어나면서 △신용카드 △할부금융·리스 매출이 증가한 것이다.
삼성·현대카드는 회원도 눈에 띄게 불어났다. 삼성카드의 회원(이용가능 기준)은 지난해 상반기 약 1155만명에서 올 상반기엔 1185만명으로 늘었다. 또 현대카드도 총회원이 1년새 약 1231만명에서 약 1283만명으로 증가했다. 그 결과 두 회사 매출액은 1년 전에 비해 총 8.3% 늘어났다.
그럼에도 순이익이 18% 넘게 쪼그라든건 결국 비용 때문이다. 카드사 6곳의 실적을 종합하면 이 회사들은 △영업비용이 늘었거나 △충당금이 증가했다. 또 영업비용, 충당금 모두 불어난 카드사도 있다. 이 때문에 매출이 불어났다고 해도 영업이익, 순이익은 증가할 수 없는 것이다.
6개사 중 가장 많은 순익을 낸 삼성메이드 슬롯는 매출액이 1년새 3.6% 늘어났지만 금융비용과 판관비가 12.5%, 4.5% 늘었고 대손비용도 13.4% 증가하면서, 전체 영업익은 9.1% 줄었다. 또 실적 2위 신한메이드 슬롯도 상황은 비슷하다. 매출은 5.0% 성장했지만 판관비, 대손충당금이 각각 5.0%, 17.0% 늘면서 실적을 깎아먹었다.

이처럼 비용이 실적을 옥죄고 있지만 카드사들은 어쩌지 못하는 실정이다. 현재로선 어쩔 수 없이 부담해야 하는 '돈'이라서다.
그간 카드사들의 주된 먹거리는 가맹점 수수료였다. 그러나 수 년간 가맹점 수수료율이 차차 낮아지면서 카드사들의 수익원은 타격을 입게 됐다. 불황의 돌파구로 신사업 확장에 나서며 제휴카드, PLCC(상업자신용표시카드)가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그렇지만 새 사업에서도 영업력 유지·확장하기 위해선 막대한 회원 혜택 비용을 감당해야 했다. 회원을 모으고 유지하기 위해 또 다른 비용이 들어가게 된 것이다. 최근 카드사들은 주요 기업들과 PLCC 계약을 다시 맺고 있는 터라 추가 비용도 감당해야 하는 상황이다.
또 비교적 높은 이자익을 기대할 수 있는 카드론도 비용 부담에 일조했다.
불황이 계속되면서 차주들의 상환능력이 줄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연체율이 뛰는 부작용이 생겨났다. 실제 이번 상반기 국민, 신한, 우리카드의 연체율이 오르기도 했다. 카드사로선 연체율을 관리하고 손실 우려에 대비하기 위해 또 비용(충당금)을 낼 수 밖에 없는 처지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각 카드사들의 상황이 다르겠지만 영업 경쟁이 계속되면서 거기서 비롯된 비용도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라며 "올초 적격비용 재산정으로로 가맹점 수수료율이 낮아진 상태서 이대로 이익을 더 내기란 쉽지 않은 일"이라고 말했다. [ 슬롯 사이트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