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현대슬롯사이트 온카판
▲사진=현대슬롯사이트 온카판

최근 삼성·신한카드가 스타벅스, 배달의민족(배민)과 제휴계약을 맺으면서 현대카드의 PLCC(상업자표시전용카드) 시장 주도권이 흔들릴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주요 제휴사가 다른 카드사들과도 협업을 진행하는 만큼, 현대카드가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과거 지표를 감안하면 '현대카드-스타벅스·배민 동행'은 충분한 효과를 거뒀다는 분석이 주를 이룬다. PLCC의 목적이 '고객 락인(Lock-in) 효과'라는 측면에서, 현대카드 회원이 꾸준하게 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는 PLCC 시장 점유율의 변화보다는 유입 고객의 이탈을 막기 위한 현대카드의 추가 락인 전략이 필요해보이는 시점으로 보인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신한카드는 최근 스타벅스, 배달의민족 제휴카드를 각각 선보인다고 밝혔다.

삼성카드는 스타벅스 리워드를 탑재한 카드를 올해 하반기 중에 출시할 예정이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스타벅스와 마케팅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신한카드도 다음달 중으로 배달의민족과 제휴 카드를 선보일 계획이다. 이 카드는 PLCC 상품인 것으로 전해졌다.

카드사가 유통·항공·IT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과 제휴를 맺고 새 카드를 선보이는 건 효과적인 영업전략 중 하나다. 기업과 관련한 특화 혜택을 제공해 고객을 모집할 수 있고 또 묶어둘 수 있는 데다, 카드사 입장에선 회원을 늘릴 수 있다는 이점이 있어서다. 또한 PLCC의 경우 제휴사와 마케팅 비용을 분담하기 때문에 비용절감 측면에서도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때문에 영업 확장, 수익 개선이 절실한 슬롯사이트 온카판사들은 너도나도 제휴처를 찾기 시작했고, 이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사용 빈도가 높은 기업들이 각광을 받았다. 현재 스타벅스, 배달의민족의 제휴 슬롯사이트 온카판사 변경이 업계 관심을 받는 배경이다.

이는 스타벅스-삼성카드, 배달의민족-신한카드 협업에 기존 제휴사인 현대카드가 주목을 받는 이유이기도 하다. 굵직한 기업 두 곳이 제휴 카드사를 바꾼 탓에 현대카드가 쥔 PLCC 주도권도 삐걱거릴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다. 동시에 현대카드의 영역 추가 확장이 둔화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 현대카드는 그간 업계 PLCC를 주도하며 '고객 락인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현대카드 회원은 2020년 915만명에서 올 1분기 1272만명으로 341만명(39%) 늘었다. 증가율만 보면 삼성·신한을 웃도는 수준인데, 이 기간 현대카드는 △스타벅스(2020년) △배달의민족(2020년) △쏘카(2021년) △무신사(2021년) △네이버(2021년) PLCC를 내놓은 바 있다. 이 카드들이 회원 증가에 주효했던 것으로 보인다. 

업계 내에선 굵직한 파트너사인 스타벅스, 배달의민족의 이탈 여파가 적지 않겠지만 다른 기업들의 파트너십이 아직 공고한 만큼 우려가 현실화될 가능성은 아직 낮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현대카드는 이밖에도 미래에셋, 야놀자, 올리브영과 협업을 전개하는 중이다. 

대신 PLCC 외에 현대카드의 또 다른 고객 락인 전략이 먹힐지는 주목해볼 필요는 있어 보인다.

최근 현대카드는 애플페이 교통카드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애플 지갑에 티머니를 추가하고 애플페이에 등록된 현대카드로 충전한 후 교통카드로 이용하는 방식이다. 애플페이 인프라를 확장한 것인데, 아이폰 고객의 추가 유입과 락인 효과가 발현될지가 관심사다.

이와 관련, 현대카드 관계자는 스타벅스 파트너십과 관련해 "변동이 없다"고 했다. 또 이와 별개로 "추가 PLCC에 대한 논의도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 슬롯 사이트 드림]

잭팟 슬롯 현대카드, 조창현 전무 각자 대표이사로 선임 예정 < 금융/증권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