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팡이 신선식품 다회용 배송용기 프레시백에 이어 일반 제품에도 다회용 배송용기 ‘에코백’(가칭)을 도입하고, 재질과 사용 편의성을 개선한 원터치 방식 ‘뉴 프레시백’ 테스트도 함께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는 인천, 부산, 제주 일부 캠프 지역에서 에코백 배송을 시범 운영하고 인천 경기 시흥 일부 지역에서는 뉴 프레시백 테스트를 병행한다.
에코백은 장보기 가방 등에 사용되는 타포린 소재를 활용한 다회용 용기로, 박스리스(Boxless) 포장인 PB(Plastic Bag) 포장을 진화시킨 제품이다. PB는 두께 0.05㎛의 얇은 배송용 봉투로 100% 재활용이 가능하다. 에코백 도입으로 친환경 배송 효과가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에코백은 80g 초경량 소재로 제작돼 배송 송장을 떼지 않고도 사용 가능하며, 지퍼 형태로 상품을 쉽게 꺼낼 수 있어 소비자 편의성도 높였다. 회수 후 재사용되기 때문에 소비자가 별도로 분리 배출할 필요가 없다.
인천에 거주하는 40대 직장인은 “기존 비닐 포장보다 분리 배출이 번거롭지 않아 편리하고 환경에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뉴 프레시백은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소재를 사용해 무게는 기존과 비슷하면서도 보냉 기능을 강화했다. 쿠팡은 보냉성 강화로 아이스팩 사용량 감소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경량화와 내구성 강화로 사용 가능 횟수도 늘렸다. 테스트 지역 소비자 90% 이상이 친환경성과 위생, 편리성에 만족감을 나타냈다. 종이 박스를 이용하던 고객도 뉴 프레시백을 선택하는 비율이 높았다.
뉴 프레시백은 수거 시 펼치지 않아도 돼 배송기사 작업 효율이 개선될 전망이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프레시백 펼치기 작업이 업무 부담을 가중할 수 있다며 개선을 권고한 바 있다.
프레시백은 국내 유일 다회용 보냉 배송용기로, 스티로폼 등 일회용 포장 사용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하루 평균 약 31만 개 스티로폼 상자 사용을 줄여 연간 여의도 면적 6.5배 토지 면적에서 900만 그루 나무 심는 효과와 맞먹는다.
CLS는 시범 운영 결과를 반영해 전국 확대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CLS 관계자는 “기후 위기 시대에 친환경 정책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에코백과 뉴 프레시백 시범 운영은 연구 개발 투자로 이뤄낸 성과로, 친환경 정책 안착을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슬롯 사이트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