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챗지피티
▲사진=챗지피티

가상자산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논의가 국내에서 수 년째 반복되고 있지만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가상자산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여전하고, 법안 통과도 더뎌지고 있어서다. 그 사이 미국의 가상자산 현물 ETF 시장은 날로 성장세다. 

25일 파사이드인베스터, 코스콤 ETF체크 데이터를 종합하면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등에 상장된 비트코인·이더리움 현물 ETF의 순자산은 총 1746억7010만달러(약 240조6779억원)다. 비트코인 ETF가 1541억9890만달러(약 212조4860억원), 이더리움 ETF는 204억7120만달러(약 28조2072억원)로 나타났다.  

작년 1월 비트코인 현물 오키 도키 슬롯가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처음으로 거래를 시작한 지 1년 6개월여만에 자산이 급격히 불어난 것이다. 숫자만 보면 6월 국내 외환보유액(약 4102억달러)의 절반 수준이다.

두 ETF의 투자심리도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 

비트코인 현물 ETF는 최근 3거래일간 자금의 순유출이 있었지만 이달 7~23일까지 546억6700만달러(약 75조2819억원)가 순유입됐다. 이더리움 현물 ETF는 이 기간 13거래일 연속 순유입을 기록하며 89억30만달러(약12조2619억원)가 모였다.

미국 내에서 스테이블코인의 발행·유통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 지니어스 액트(GENIUS Act)를 비롯한 친(親) 가상자산 정책이 다뤄지면서 개별 코인이 오른 결과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가격을 추종하는 두 현물 ETF도 자연스레 정책 수혜를 입은 셈이다. 

미국의 가상자산 투자 시장이 변화무쌍하게 성장하는 동안 한국은 '제자리걸음'이었다. 국민들의 관심은 높아졌지만 정부와 금융당국은 가상자산 투자를 투기로 보면서 제도 마련에 소극적이었다. 특히 가상자산 현물 오키 도키 슬롯 허용 여부는 우리나라에서도 일찌감치 논의됐었다.

특히 지난해 초 미국과 홍콩이 연이어 비트코인 현물 ETF 거래를 승인하면서 국내 도입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졌다. 그해 4월에 치러진 총선 전후 두 당(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은 비트코인 현물 ETF의 발행·허용을 담은 공약을 발표하며 입법 기대감도 함께 상승했다. 

그렇지만 총선 이후 가상자산 현물 ETF에 대한 논의는 지지부진했다. 

앞서 모 증권사가 비트코인 현물 ETF 거래를 중개하려고 준비했지만 금융당국 제지로 실행에 옮기진 못했다. 자본시장법에 위배될 소지가 있다는 것인데 당국의 이러한 보수적인 태도가 총선 이후까지도 유지되면서 가상자산 현물 ETF에 대한 관심도 떨어진 것이다. 

또 국회는 올해 3월에야 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허용과 관련한 입법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정성국 국민의힘 의원이 자산운용사의 투자대상자산에 가상자산을 포함시키자는 내용의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1년이 지나서야 발표한 것이다. 

이후 지난달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허용을 담은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여·야가 ETF 에 대해 같은 궤를 그리고 있다는 것에 시장은 일단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그러나 개정안의 통과·시행에 적지않은 시간이 소요돼 자칫 글로벌 투자 흐름에 뒤처질 수 있다는 우려도 일각에선 나오고 있다. 

국회는 그동안 블록체인·가상자산과 관련한 법안을 속도감 있게 처리하지 못했다. 현재 국회에는 가상자산 현물 ETF 뿐만 아니라 STO(토큰증권),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안이 발의돼 있는 상황. 이중 STO 법안은 지난 국회에서 발의됐지만 통과되지 못했다. 

3·6월 발의한 법안도 STO법안처럼 제대로 논의되지 못한다면 국회는 총선표를 얻기 위해 가상자산 현물 ETF에 대한 변죽만 울렸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

이렇게 정부·금융당국의 신중론이 이어지면서 가상자산 현물 ETF에 얽혀 있는 이해관계자들의 표정도 갈리고 있다. 

가상자산 현물 ETF가 도입·허용되면 증권사, 자산운용사들은 상품의 설계·운용·판매로 이득을 볼 수 있다. 실제 몇몇 증권사, 자산운용사는 가상자산 ETF에 대한 복안을 내놓으며 적극적인 모습이다.

반면 가상자산 거래소는 어쩐지 제대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 

전통 금융사(증권사, 자산운용사)보다 새 사업을 확대하기가 여의치 않고, 거래소 업계에 대한 당국의 규제 기조가 지속되고 있는 탓으로 풀이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가상자산 현물 ETF가 도입·허용된다면 거래소들은 유동성·거래량이 증가하고 주요 핀테크사들과 협업해 수탁서비스 등을 논의해볼 수 있다"며 "다만 거래소를 바라보는 일반적인 시각이 긍정적이지 않고 여러 규제까지 얽혀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계획을 밝히기엔 조심스러운 입장"이라고 귀띔했다. [ 슬롯 사이트 드림]

비트슬롯 다이 출렁에도 끄덕없는 '현물 ETF 투심'…"10연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