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증권은 10일 BNK금융에 대해 2·3분기 큰폭으로 이익이 늘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BNK금융에 대한 투자의견은 매수로, 목표주가는 1만4000원으로 각각 유지했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BNK금융이 강남권역에 소재한 BNK디지털타워 매각을 마무리하면서 올 연간 순이익은 8300억원을 상회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면서 "순이익 확대가 동일한 배당성향 가정 하에 주당 배당금을 상향시킬 여지가 높고 CET1 비율을 추가 상승시키는 요인임은 분명하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최 연구원은 BNK금융의 2분기 추정 손익을 2480억원으로 전망했다. 그는 "2분기 양행 합산 원화대출 증가율은 약 0.5%며 양행 합산 순이자마진도 0.01%포인트 상승하면서 순이자이익이 다시 증가할 것"이라며 "그룹 대손 비용도 1800여억원으로 전분기보다 대폭 낮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부산지하철공사 관련 소송에서 승소하면서 세전 약 130억원 내외의 기타충당금 환입도 발생하겠다"며 "또 금양의 유상증자가 성공할 경우, 이와 관련해 1분기 적립했던 270억원의 추가충당금이 3분기 환입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또 "3분기 중 디지털 타워 매각익 인식 외 금양 충당금 환입 또한 발생한다면 3분기 순이익은 3100억원을 상회할 수 있을 것"이라며 "1분기를 저점으로 2~3분기 중 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봤다.
최 연구원은 "BNK금융은 1분기 NPL비율이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건전성이 크게 악화된 상태"라며 "여기에 감독당국 권고에 따른 PF대출의 후행적 NPL 분류 영향이 컸지만 이를 감안해도 연체율 상승세 또한 눈에 띄는 모습이었다"고 평가했다.
이와 함께 "물론 향후 삼정기업, 금양의 여신건전성이 재분류되면 건전성 악화 추세가 다소 둔화되는 것처럼 보일 공산이 크다"며 "다만 중소법인 비중이 높은 지역은행들이 모두 건전성 악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몇개 분기 면밀한 건전성 체크가 필요하다. 자산건전성 안정화가 확인돼야 수익성, 자본력에 대한 신뢰가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 슬롯 사이트 드림]
관련기사
- [키-리포트] iM "삼성SDI, 유럽·북미향 배터리 출하 부진 전망"
- [키-리포트] 신한 "현대무벡스, 성장성·밸류에이션 모두 갖춘
- [키-리포트] 한국투자 "신세계, 양호한 주가 흐름
- [키-리포트] 한국투자 "리노공업, 고성능 AP 스마트폰 확대
- 슬롯 무료체험 [저축銀 리포트] 고객 쏠림 극심…'빅5' 450만 돌파 vs '스몰5'
- [키-리포트] 신한 "이오테크닉스, 2Q 영업이익률 개선 전망"
- [키-리포트] 신한 "일진전기, 연간 수익성 점진적
- [키-리포트] 키움 "한솔케미칼, 2Q 실적 기대치 상회"
- [키-리포트] 대신 "한화오션, 美군함시장 타깃 전략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