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근로자공제회(이하 공제회)가 해외 부동산 사모펀드 투자로 2년 연속 대규모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장 안호영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공제회는 △2018년 미국 소재 오피스빌딩에 358억 원(KB자산운용) △2019년 프랑스 소재 오피스빌딩에 344억 원(인마크자산운용)을 각각 슬롯 게임했다.
하지만 두 건의 투자 모두 최근 2년간 연속 손실을 기록했다. 프랑스 소재 오피스빌딩은 2023년 63억 원·2024년 65억 원의 평가손실이 발생했으며, 미국 소재 오피스 빌딩도 2023년 76억 원·2024년 77억 원의 손실을 기록했다는 게 안 의원의 설명이다.
이는 공실률이 상승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프랑스 오피스빌딩 공실률은 투자 당시인 2019년 2분기 5%에서 2024년 4분기 19.8%로 급등했고, 미국 오피스 빌딩의 경우 투자 당해 이미 공실률이 20.1%였고 2024년 4분기에는 22.7%까지 상승했다.
공실 리스크에 대한 우려는 투자 초기부터 제기된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자산운용사 측에선 파리올림픽 개최에 따른 프랑스 부동산 경기 회복, 미국 오피스빌딩 내 정부기관 입주 증가 등을 근거로 안정적이라는 의견을 냈고, 공제회 투자심의위원회는 이 같은 의견을 수용해 투자를 결정했다.
공제회가 투자 결정 단계에서 이미 자금회수 리스크를 인지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공제회의 리스크관리보고서에 따르면 두 상품 모두 "부동산 시장 위축가능성 등으로 매각 가격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는 우려가 있었으며, 심의위원회 내에서도 관련 논의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문제는 해당 펀드가 부분환매나 중도해지가 불가한 '폐쇄형 상품'이기 때문에 매각 전까지 자금회수가 불가능하고, 손해 발생시 공제회가 대응할 수 있는 수단도 제한적이라는 점이다. 실제로 이번 손실 이후 공제회는 관리계획서를 징구하고 신규 자금 배정 금지 조치를 했지만 운용사 재량사항인 투자금 회수를 위한 조치는 취하지 못했다.
이와 관련, 안 의원은 "공제회는 국내 연기금 등 대부분의 기관투자자들과 마찬가지로 운용사가 제시한 자료의 추가 검증 없이 자산운용사의 법률·세무·물리·재무 실사와 감정평가 보고서를 근거로 투자를 결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적정한 내부 검토 없이 운용사에 의존한 부실한 투자 체계가 280억 원이 넘는 손실을 초래했다"며 "해당 자금은 단순한 투자금이 아니라 건설근로자들의 혈세인 만큼, 공제회는 보다 책임 있는 투자를 위해 투자 프로세스 내 검증절차를 마련하고 책임을 분담하는 등 체계 전반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슬롯 사이트 드림]